분류 전체보기

·DevOps/GitOps
문제 상황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에서 이전 커밋 메시지를 포함하여 새로운 커밋을 만들 때, 특수문자로 인한 셸 구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name: Git Commit and Push run: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com"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 git add . git commit -m "${{ github.event.head_commit.message }} - ${{ github.sha }}" git push예를 들어, 이전 커밋 메시지가 다음과 같은 경우:Revert "feat: Add new feature (TICKET-123)"다음과 같은 ..
·DevOps/Kubernetes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Amazon EKS는 가장 강력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복잡한 분산 시스템에서 노드 수준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이 가이드는 EKS 노드의 잠재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공합니다.1. 노드 상태 진단1.1 초기 상태 점검# 노드 전체 상태 확인kubectl get nodes -o wide# 상세 노드 정보 추출kubectl describe node 노드 상태 유형Ready: 정상 작동NotReady: 문제 감지SchedulingDisabled: 스케줄링 제한Unknown: 통신 불가2. 리소스 병목 현상 심층 분석2.1 CPU 성능 모니터링평균 CPU 사용률 90% 초과 시 즉각 대응 필요주요 원인:비효율적 애플..
·DevOps/Kubernetes
안녕하세요, 어제에 이어서 오늘 포스팅은 또 다른 쿠버네티스 골치거리인 ImagePullBackOff 상태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ImagePullBackOff가 발생하는 이유Pod가 ImagePullBackOff 상태라면, 쿠버네티스가 컨테이너 이미지를 가져오는데 실패했다는 의미입니다. 📋 문제 확인하기먼저 자세한 에러 메시지를 확인해보겠습니다.# Pod 상태 확인kubectl get podskubectl describe pod 🚨 주요 원인과 해결방법1. 이미지 이름/태그 오타가장 흔한 실수, 이미지 이름이나 태그를 잘못 입력했을 수 있습니다.해결방법# deployment.yamlspec: containers: - name: my-app # 틀린 예: image: nginx:lates..
·DevOps/Kubernetes
Kubernetes 클러스터를 운영하다 보면 종종 "ContainerCreating" 상태에 머물러 있는 파드(Pod)를 마주치게 됩니다. 이 상태는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복잡한 메커니즘과 잠재적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Kubernetes Pod 생성 워크플로우1. Pod 생성 요청Kubernetes 클러스터에 Pod 생성을 요청하면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API Server 요청: 사용자나 컨트롤러가 API Server에 Pod 생성 요청 YAML/JSON 매니페스트 파일을 통해 Pod 스펙 정의 Scheduler 개입: API Server는 스케줄러에게 Pod 배치 요청 노드 선택 기준 리소스 가용성 노드 선택자(nodeSelector) 어피니티/안티 어피니티 규..
S3 서비스 이용 시 AccessDenied 오류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정책 설정에 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문제 상황 파악CloudTrail 로그 확인MFA 정책 수정AWS CLI에서 임시 자격 증명 사용1. 문제 상황 파악과거 진행했던 S3 접근 오류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있었습니다:S3 접근 시: "An error occurred (AccessDenied) when calling the ListBuckets operation: Access Denied"S3 복사 시: "fatal error: An error occurred (403) when calling the HeadObject opera..
AWS Aurora RDS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Aurora RDS의 백업 방식과 저장 위치, 그리고 백업 프로세스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백업 설정 시 자주 받는 질문에 대한 답변도 함께 정리했습니다.1. Aurora RDS 백업 방식AWS Aurora RDS는 자동 백업(Automated Backup)과 수동 스냅샷(Manual Snapshot) 두 가지 방식으로 데이터를 백업합니다.1.1 자동 백업기본 동작: Aurora는 데이터베이스와 트랜잭션 로그를 백업하며, 기본적으로 증분 백업 방식으로 작동합니다.최초 백업: 첫 번째 백업은 풀백업(Full Backup)으로 수행됩니다.이후 백업: 변경된 데이터만 캡처하는 증분 백업(Incremental ..
1. CORS 개요CORS란?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웹 브라우저에서 다른 출처(origin)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여기서 "출처"란 프로토콜(http/https), 도메인, 포트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왜 필요한가?- Same-Origin Policy(동일 출처 정책): 브라우저는 보안상의 이유로 다른 출처의 리소스 접근을 제한합니다.- 현대 웹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서로 다른 도메인에 호스팅되는 경우가 많아 CORS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2. CORS 동작 원리Preflight 요청브라우저는 실제 요청 전에 OPTIONS 메서드를 사용해 서버에 예비 요청(preflight)을 보냅니다. httpOPTIONS /api/da..
·IT/AWS
EC2에서 EBS Burst Balance Credit 경고 이해 및 관리 EC2 인스턴스에서 EBS (Elastic Block Store) 볼륨을 관리하다 보면 특정 볼륨의 “Burst Balance Credit”이 낮아졌다는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Burst Balance 지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러한 알림을 해결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BS Burst Balance란? Burst Balance 지표는 특정 EBS 볼륨 유형의 남은 버스트 크레딧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다음과 같은 EBS 볼륨 유형에 적용됩니다: • 범용 SSD (gp2), • 처리량 최적화 HDD (st1), • 콜드 HDD (sc1). 버..
Jflip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