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쿠버네티스 관련 포스팅을 한번 번역해 보았습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쿠버네티스 디자인 패턴 10가지"라는 글입니다. https://twitter.com/bibryam Bilgin Ibryam(@bibryam) 님 | 트위터 @bibryam 님 언뮤트하기 @bibryam 님 뮤트하기 팔로우 @bibryam 님 팔로우하기 팔로잉 @bibryam 님 팔로우 중 언팔로우 @bibryam 님 언팔로우하기 차단됨 @bibryam 님이 차단됨 차단 해제 @bibryam님 차단 해제 대� twitter.com 저자 Bilgin Ibryam님이 한국 독자들을 만나보고 싶어합니다, Bilgin의 트위터 공간을 통해 만나보세요! 블로그에 대한 내용은 저자이신 빌긴 이브리암에게 저작권이 있으며,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쿠버네티스 엔진에서 지역 영구 디스크를 사용한 워드 프레스 배포를 배워 보겠습니다. 쿠버네티스 엔진 클러스터와 지역 영역 디스크를 사용해 고 가용성의 서비스가 가능한 워드프레스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잘 동작하는지 일부러 장애를 발생시켜서 테스트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쿠버네티스 엔진 클러스터를 지역 자원으로 만듭니다. 2) 복제된 존에 쿠버네티스 스토리지 클래스 리소스를 만듭니다. 3) 워드 프레스를 스토리지 클래스를 활용하여 지역 디스크와 함께 배포합니다. 4) 노드를 삭제하여 지역 장애를 테스트해봅시다. 5) 복제된 다른 존으로 워드 프레스 앱과 데이터의 마이그레이션을 테스트해 봅시다. 1. 리전 클러스터 생성하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늘은 쿠버네티스 솔루션입니다. 공부할수록 쿠버네티스가 담고 있는 깊이가 깊다는 생각이 듭니다. 쿠버네티스가 낯선 분들께는 쿠버네티스 솔루션 핸즈온 랩을 통해서 실무에 대한 감을 익히시길 바라고, 현업에서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번 랩에서는 배포 시나리오에 대해서 다룹니다. 롤링 업데이트, 카나리 배포, 블루 그린이 그 시나리오들입니다. 추후 한번 같이 살펴보시고, 이종 배포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종 배포는 다른 인프라 환경 혹은 리전에서 특정한 기술적, 운영적 필요에 의한 연결을 포함하는 것을 뜻합니다.) 싱글 클라우드를 통해서 싱글 리전에 클라우드를 구축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대 리소스 제한 2...
안녕하세요, 만나뵙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새로이 기술을 배우고 나누는 것에 관심이 많아 좋은 글을 보고, 번역 작업을 하기도 하고, 베타 리딩 등을 통해서도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때때로 스터디를 통해서 같이 배우기도 좋아합니다. GDG Cloud Korea 챕터 운영진, Google Cloud Certified Korea 운영진을 맡고 있습니다. 혼자가 아니라 많은 좋은 분들과 함께 오래 가고 싶습니다. 하루 하루 조금씩 발전하려고 하려고 합니다. Linkedin : https://www.linkedin.com/in/chi-young-choi-7428455b/ Email : zitrocy@gmail.com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오늘은 GCP Essentials 다섯 번째 세션인 Network LoadBalancer와 Http(s) LoadBalancer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다음 랩인 Challenge Lab은 별도로 몰아서 진행하겠습니다!) 로드밸런서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으니, 자세한 내용은 참조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jflip.tistory.com/10 로드 밸런서란? (Load Balancer)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로드밸런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웹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하더라도 트래픽이 몰리게 되면 운영의 지속적인 서비스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jflip.tistory.com 먼저 이번 랩은 L3 네트워크 로드밸런서와 L7 HTTP 로드밸런서입니..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로드밸런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웹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하더라도 트래픽이 몰리게 되면 운영의 지속적인 서비스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보안 취약점 역시도 드러나기 쉽습니다. 흔히 서비스가 지속되는 정도를 가용성이라고 하는데, 트래픽이 이렇게 몰리는 것을 막아 가용성을 보존하고, 트래픽 병목 현상을 예측하고 막을 수 있는 것이 로드밸런서가 됩니다. 최근 분산 처리 시스템에서도 필수 요소입니다. 사용할 수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는,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다운타임 최소화와 서비스에 대한 병목현상 예측, 비용 절감 (네트워크의 이중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등 입니다 로드 밸런서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작업..
안녕하세요! 오늘은 GKE 구글 클러스터 엔진을 통한 배포를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쿠버네티스 엔진을 통해서 관리형 환경을 제공 받고,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통해서 배포 관리, 자동으로 스케일링,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보장받는 것이 쿠버네티스의 특징이 되겠습니다. (퀵랩에서 적은 내용이 길었는데 아직은 깊게 알지 않아도 됩니다. 하늘색 글귀를 보세요.) GKE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이점도 얻을 수 있습니다. 1) 인스턴스 로드밸런싱 2) 노드 풀 3) 노드 인스턴스 오토스케일링 4) 노드 소프트웨어 자동 업그레이드 5) 노드 헬스와 가용성 유지 6) 로깅 / 모니터링 콘솔창 열어 주시고, 클라우드 쉘까지 넘어가 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쉘을 열어서 활성화된 계정을 확인하고, 프로젝트 ID도 제대로 출력이 ..
안녕하세요! 오늘은 클라우드 쉘과 gcloud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google cloud shell은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서 가상 머신도 만들 수 있고, 리소스에 대해서 접근할 수도 있죠. 이번 세션을 통해 gcloud 커맨드를 연습해보고, Compute Service들은 무엇이 있는지 한번 살펴봅시다. 위의 슬라이드를 확인하여 접속을 마무리해주시고, 클라우드 쉘을 사용해 봅시다. 지난 시간 진행했었던 리전과 존에 대한 내용 기억나시나요? 일단 이번에는 기본 존 세팅과 리전이 세팅이 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넘어갑니다. 다음으로, 리전과 존에 대한 설명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군요. gcloud compute project-info describe --proj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