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GCP Essentials 다섯 번째 세션인 Network LoadBalancer와 Http(s) LoadBalancer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다음 랩인 Challenge Lab은 별도로 몰아서 진행하겠습니다!) 로드밸런서에 대해서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루었으니, 자세한 내용은 참조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jflip.tistory.com/10 로드 밸런서란? (Load Balancer)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로드밸런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웹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운영하더라도 트래픽이 몰리게 되면 운영의 지속적인 서비스가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jflip.tistory.com 먼저 이번 랩은 L3 네트워크 로드밸런서와 L7 HTTP 로드밸런서입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GKE 구글 클러스터 엔진을 통한 배포를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쿠버네티스 엔진을 통해서 관리형 환경을 제공 받고, 컨테이너 클러스터를 통해서 배포 관리, 자동으로 스케일링,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보장받는 것이 쿠버네티스의 특징이 되겠습니다. (퀵랩에서 적은 내용이 길었는데 아직은 깊게 알지 않아도 됩니다. 하늘색 글귀를 보세요.) GKE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이점도 얻을 수 있습니다. 1) 인스턴스 로드밸런싱 2) 노드 풀 3) 노드 인스턴스 오토스케일링 4) 노드 소프트웨어 자동 업그레이드 5) 노드 헬스와 가용성 유지 6) 로깅 / 모니터링 콘솔창 열어 주시고, 클라우드 쉘까지 넘어가 보겠습니다. 다음으로 쉘을 열어서 활성화된 계정을 확인하고, 프로젝트 ID도 제대로 출력이 ..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상 머신 만들기를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가상 머신이 무엇이냐?라고 물으실 분들도 많이 계실 텐데요, 간단히 말해서 한대의 물리 배포 공간인 하드웨어에서 논리 객체인 가상 머신을 추상화하여, 가상 머신 여러 대를 한대의 하드웨어에서 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지고 계신 컴퓨터 위에서도 여러 대의 OS를 설치해서 돌릴 수가 있죠? PC에 리눅스, 윈도우 깔아 같이 사용하는 것도 일종의 가상화입니다. GCP에서도 마찬가지로 여러 대의 가상 머신을 돌릴 수가 있답니다. 자세한 내용은 그림으로 풀어서 다음번 블로그에서 개념을 정리해 둘 터이니, 많이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의 핵심 내용은 가상 머신을 GCP 상에서 만드는 것입니다. 먼저 셋업에 관련한 내용입니다. 표준 브라우저를 사용..